12장 자연과 성경 속의 계시(Revelation in Nature and Holy Scripture) 요약
자연과 성경 속 계시: 개혁주의 신학적 관점
목차
1. 계시의 개념과 왜곡
- 자연주의와 초자연주의의 위험
-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계시 이해
2. 자연주의와 계시의 대립
- 자연주의의 한계
- 성경적 계시의 특수성
3. 계시와 기적의 신학적 위치
- 기적과 자연법칙의 관계
- 계시와 기적의 구속사적 역할
4. 계시와 성경의 관계
- 성경과 타종교 경전의 차이
- 기독교 계시의 역사적·보편적 성격
5. 계시의 완성과 지속적 적용
- 구속사 속 계시의 성취
- 성령의 사역과 계시의 적용
1. 계시의 개념과 왜곡
1) 자연주의와 초자연주의의 위험
계시에 대한 이해는 **자연주의(Naturalism)**와 초자연주의(Supernaturalism) 모두에서 왜곡될 위험이 있다.
- 자연주의(Naturalism): 물질과 감각적 세계만을 실재로 여기며, 신적 계시를 부정하거나 자연 현상으로 환원한다.
- 초자연주의(Supernaturalism): 특별 계시를 창조 및 자연과 단절시키고, 계시를 종교적 체험이나 신비적 요소로만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2)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계시 이해
종교개혁은 계시와 자연의 관계를 양적 대비에서 질적 대비로 변화시켰다. 즉, 은혜는 자연과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죄와 대립하는 것이다. 계시는 자연과 초자연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와 구속의 연속성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2. 자연주의와 계시의 대립
1) 자연주의의 한계
자연주의는 계시를 부정하고 자연을 절대화하며, 인간 이성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에서만 진리를 인정한다. 그러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한다.
- 종교의 보편성 문제: 인간은 본능적으로 신을 찾고, 계시를 통해 신과 소통하려는 경향이 있다.
- 세계관의 불완전성: 과학적 설명만으로는 초월적 실재나 도덕적 가치의 근거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다.
2) 성경적 계시의 특수성
성경은 단순한 종교적 문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특별한 역사적 개입과 성령의 작용을 통해 주어진 계시이다. 이는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신자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핵심 요소이며, 물질주의(Materialism)나 범신론(Pantheism)과 대립하는 기독교적 유신론(Theism)에 기초한다.
3. 계시와 기적의 신학적 위치
1) 기적과 자연법칙의 관계
기적(Miracle)은 자연의 법칙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자연을 구속하고 완성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 창조 세계는 고정된 기계적 구조가 아니라, 목적론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에 있다.
- 기적은 자연법칙과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초월적 목적을 성취하는 방식이다.
2) 계시와 기적의 구속사적 역할
계시와 기적은 하나님이 인간과 함께 거하시며, 인간을 하나님께 인도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러나 계시와 기적은 인간 능력의 산물이 아니며, 심령주의(Spiritism)나 최면(Hypnotism), 텔레파시(Telepathy) 등과 구별되어야 한다.
4. 계시와 성경의 관계
1) 성경과 타종교 경전의 차이
많은 종교에는 신성한 경전이 존재하지만, 성경은 단순한 신화나 의식 규정집이 아니다. 성경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하나님의 직접적인 역사 개입: 성경은 하나님의 구속 역사와 연결되어 있다.
- 객관적 증거와 역사적 신뢰성: 성경은 예언과 성취, 고고학적 증거 등을 통해 신뢰성을 입증한다.
- 성령의 감동(Inspiration)과 권위: 성경은 단순한 문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영원한 진리를 담고 있다.
2) 기독교 계시의 역사적·보편적 성격
기독교의 계시는 단순한 신비적 체험이 아니라, 역사적 사건 속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 하나님의 뜻이다. 이는 단순한 철학적 사변이 아니라, 보편적이고 영원한 진리로 작용한다.
5. 계시의 완성과 지속적 적용
1) 구속사 속 계시의 성취
계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Parousia) 때 완성된다. 이를 위해 구속사는 두 시기로 나뉜다.
- 객관적 계시 시대: 구약과 신약에서 하나님이 직접 계시하신 시대
- 계시의 적용 시대: 성령의 사역을 통해 완성된 계시가 신자들에게 적용되는 시대
2) 성령의 사역과 계시의 적용
- 성령은 새로운 계시를 추가하지 않으며, 오직 그리스도의 완성된 사역을 신자들에게 적용할 뿐이다.
- 교회는 성경의 계시 없이 존재할 수 없으며, 성경도 교회를 통해 올바로 해석되고 적용된다.
- 성경은 단순한 역사 기록이 아니라, 지금도 살아 계신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령의 조명을 통해 지속적으로 역사한다.
궁극적으로 계시는 하나님이 인간과 영원히 함께하시기 위한 과정이며, 교회와 성경은 이 과정 속에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